[정보]청년희망적금, 빨리 신청하세요!

1. 소개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연 9% 금리 수준의 일반 적금과 유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되었다.

청년희망적금은 금일 협약에 따라 2.9(수)~18(금) 동안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운영 후 2.21(월)에 11개 은행에서 정식 출시됨.

2. 출시 은행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은행이며, 향후 경남은행(2.28일)SC제일은행(6월 경)은 추가 출시 예정이다. 참고로 은행마다 수익이 아주 약간 다르다(0.5~1% 수준)

3. 가입대상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1)‘가입일 기준’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이 가입할 수 있으며, 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산입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병역이행기간이 2년인 ‘86년생은 가입이 가능하다는 뜻.

2)(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21.1~12월)의 총 급여 3,600만 원,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면 가입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된다.

3)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4) 전 과세기간(‘21.1~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 연도(’ 20.1~12월)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 및 가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4. 지원이자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적금상품으로 만기는 2년이며

만기일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저축장려금은 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된다. 간단히 말해서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는 경우 최대 36만 원 저축장려금을 지원한다. 참고로 이자소득에 대한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출처-금융위원회

 

 

 

5. 가입방법

11개 은행의 앱(App)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참여자는 상품이 정식 출시되면

‘미리 보기’를(연령·개인소득)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입할 수 있다.

참고로 ‘87.2.21일까지 출생자로, 병역이행기간 제외 시 만 34세 이하(가입일 기준) 가입 희망자는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를 통해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니, 정식 출시 후 은행 창구에서 대면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참고로 시중금리는 2.9(수)부터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 예금상품 금리비교공시사이트에서에서 은행별로 비교할 수 있다.

(사이트 :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ng.php)

6. 가입방식

 2.21(월)에 11개 은행에서 정식 출시될 예정으로, 취급은행 중 1개 은행을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며, 대면, 비대면으로 가입이 가능하니 굳이 찾아가서 가입할 필요는 없다.

* 영업일(주말 제외) 오전 9시~오후 10시 중 운영하여, 정식 출시 첫 주(2.21~25일)에는 5부제 가입방식이 적용된다.

 

< 청년희망적금 5부제 가입방식>
가입가능일 2.21(월) 2.22(화) 2.23(수) 2.24(목) 2.25(금)
출생연도 91년, 96년,
01년
87년, 92년,
97년, 02년
88년, 93년,
98년, 03년
89년, 94년,
99년
90년, 95년
00년

7. 마치며

월 최고 50만원, 1년 600만 원, 2년 1,200만 원을 납입하면 약 100원 정도의 이자가 발생한다.

이런 관련 제도중 ‘청년내일배움공제’라는 것이 있다. 물론 가입 및 납입 방식이 다르지만

2년 뒤 300만원으로 1,200만 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

나라 세금이 많이 부족한가 보다. 또한 이번 청년희망적금은 예산을 적게 잡아 선착순으로 진행되었다가

논란이 거세자 예산을 늘리겠다고 최근에 발표했다.

900만 원과 100만 원.. 참 뭔가 의도가 정부의 허세를 보여주는 느낌이다.

이럴 바엔 그냥 안전한 기업에 주식을 사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