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그네슘(mg) 먹는다고 눈떨림 안사라집니다.(정보/효능)





우리가 흔히 눈 떨림이 생기면 반사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다.

“너 마그네슘 챙겨 먹어야겠다”

눈 떨림 현상은 주로 마그네슘 결핍으로 인한 증상이라고 생각하는데,

결론만 말하자면 틀렸다.

왜 눈 떨림은 마그네슘과 관계가 없는 거지?

눈 떨림 증상에 대해 마그네슘이 효과가 없다는 실험 결과가 있었다고 한다.

22년 1월 24일  ‘분당◎◎병원’ 신경과 연구팀이 눈 떨림과 마그네슘 관계에 대해 실험을 했다.

연구팀은 5년 동안 눈 떨림 증상이 있는 20~60세 환자 72명과 아무 이상 없는 197명을 대상으로

서로 마그네슘 농도를 비교했는데 두 그룹의 마그네슘 농도가 별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눈 떨림이 있는 환자들의 마그네슘 농도는 2.1mg/㎗

눈 떨림이 없는 일반인의 마그네슘 농도는 2.2mg/㎗

고작 0.1mg 차이뿐이었고, 이 수치로 눈 떨림이 오고 가는 수준은 아니라는 뜻이다.

그럼 대체 눈 떨림은 왜 생기는 거야?

이번 실험에서 특이점을 발견했었다.

눈 떨림이 있는 그룹 중 약 85%가 넘게 피로를 느끼고 있다고 하였고,

눈 떨림이 없는 그룹은 70%가 피로를 느낀다고 했다.

꾸준히 눈 주변이 떨림이 있는 현상을 ‘양성(良性) 안윤근 파동’이라고 하는데 대부분

젊고 건강한 사람에게 나타난다. 의대생 사이에서는 ‘이대생 질병’이라고 불리는데.

실제 시험 전 높은 강도의 공부를 할 때 증상이 많아진다고 밝혀졌다.

이런 증상은 저절로 사라지는 일시적 증상이기도 하지만 간헐적으로 수개월 지속되는데

주로 추가로 입술 근육도 추가로 영향을 준다고 했다.

주요 원인으론 피로, 수면부족, 스트레스, 흡연 등이 언급된다.

또한 마그네슘이 눈 떨림 현상에 영향을 준다는 의학적 근거도 전혀 없다.

마그네슘 결핍은 신경의 과도한 흥분은 유발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마그네슘 보충이 눈 떨림 현상을 억제할만한 연구결과는 아직 없다는 것.

그럼 대체 마그네슘의 역할은 뭔데?

일단 마그네슘은 뼈와 치아에 약 60% 정도 함유되어 있다.

이 뜻은 뼈와 치아의 구성 요소이며, 주로 장관에서 흡수가 되고  분변과 요로 배설이 된다.

결핍 시 근육통, 심장기능 약화, 근육경련 증상이 생기지만 눈 떨림 증상과는 크게 관련이 없으며,

과잉 시 설사, 탈수, 칼슘 기능의 방해로 신경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참고로 칼슘과 마그네슘은 서로 길항작용을 한다. 서로 반대의 역할을 한다는 것

어찌 보면 칼슘이 부족하면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는데 눈 떨림 증상은 칼숨이 결핍돼서 생기는 증상이 아닐까?

그럼 눈 떨림 증상이 일어나면 어떡해?

자면 된다. 그만큼 당신이 오늘 하루를 열심히 달렸다는 뜻이니까..

푹 쉬고 편히 쉬자. 그리고 크게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은 아니니 너무 스트레스받지 말자.

오늘도 당신은 수고했다. 영양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수면인걸 꼭 잊지 말자!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