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소 우영우 패러디 논란, 최근 근황은?



우와소 유튜버 사건

‘우리 와이프를 소개합니다.’ 라는 유튜브를 운영하는 부부 유튜버가 있다. 이 유튜버는 제목 그대로 자신의 와이프를 소개하는 영상으로 쇼츠와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는데 최근 논란이 되었다.

 사건의 시작


우영우-우와소


우영우-우와소

우와소에선 한창 인기가 많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라는 드라마의 주인공을 패러디하는 영상이 올라왔었다. 사건의 시작은 여기서 부터 시작됬다. 우와소 측에서는 ‘장애인을 비하하려는 의도로 만든 영상이 아니다.’ 라고 입장을 밝혔지만, 일부 네티즌들이 도를 넘는 악플을 달기 시작한 것이다.



우와소 악플 중 일부

 

고소 준비


우영우-우와소
출처 우와소 유튜브

장애인 비하목적이 아닌 패러디의 일종이라고 입장을 밝혔지만 그 와중 선넘는 댓글들이 많아서 고소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아래  문구는 유와소 관리자의 입장문이다. (글이 수정될 수도 있음을 밝히여,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시간대 기준으로 가져왔습니다. 글 내용이 너무 길어 캡쳐가 어려워 복붙을 하였습니다.)


우영우-우와소

출처 우와소 유튜브

우영우-우와소
출처 우와소 유튜브

우영우-우와소
출처 우와소 유튜브

저희 패러디 영상은 재미와 함께 조회수, 수익창출을 위해 만든 것이 맞습니다.

헌데 이것은 모든 대중 컨텐츠의 근간이며 우영우 드라마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뿌리를 드라마와 따로 두는 것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드라마는 저희 패러디 영상보다 많은 것을 이야기합니다.

자폐인의 마음, 주변인들의 시선 변화, 차별과 극복 과정 등등 저희 패러디는 그저 이 드라마에 있는 한 가지 요소를 가져왔습니다. 우영우라는 캐릭터의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습입니다.

이런 1차원적인 매력은 드라마의 다른 숭고한 뜻이나 의도보다 단순해보일 수 있지만 인식개선에 있어서 가장 압도적인 효과를 발휘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드라마를 볼 때 생각보다 그렇게 복잡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니까요.

저는 우영우 캐릭터 덕분에 사람들이 갖고 있을 수 있는 자폐인들에 대한 무의식적인 거부감이나 편견, 또는 낯섬과 어려움이 낮아졌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적어도 제 시야에선 인식개선의 1등 공신이 우영우 캐릭터의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분들은 ‘자폐인들이 왜 귀엽고 사랑스러워야하냐? 그들은 있는 그대로 보여지기를 바란다.’ 고 하시는데 있는 그대로라는 것이 정확히 뭘 말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폐가 있으면 귀엽고 사랑스러우면 안되는 걸까요? 보통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귀엽고 사랑스러울 수도 있고, 평범할 수도 있고, 불편할 수도 있고, 미움받을 수도 있죠. 귀엽고 사랑스러운 것도 ‘있는 그대로’의 범주 안에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저는 이런 우영우의 호감 이미지를 가져와, 평소 구독자분들께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습으로 사랑받는 와이프를 출연시켜 패러디를 했습니다.

물론 영상을 구상할 때 ‘자폐인들의 인식개선’을 중점에 두고 만든 것은 아닙니다. 저는 그렇게 대단한 뜻을 두고 사는 사람은 아닙니다. 드라마에 과몰입한 와이프의 모습을 귀엽게 표현하고자 했을 뿐입니다.

그래도 우영우의 호감 이미지와 더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영상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우영우 캐릭터만의 특징을 연기하고 대사를 각색하여 패러디했을 뿐이고 중간에 제가 “말투가 왜그래?” 라고 한 것은 와이프가 평소 말투와 다르기 때문이었습니다.

저는 비하 패러디라고 한다면 특정 대상을 깎아내리면서 웃음을 유도하는 것을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영상에 우영우의 말투를 따라하며 히히덕대거나 깎아내리는 등의 연출, 내용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나쁜 의도를 갖지 않았다고 해서, 저의 영상이 완전무결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꼭 옳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당연히 불편하고 불쾌한 분들이 계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분들을 모두 맞춰가며 컨텐츠를 만든다는 것이 참 어렵습니다. 초반엔 비록 여초 사이트들에서 인위적으로 좌표를 찍고 몰려와 온갖 욕설과 악플이 도배되어 비판 여론을 제대로 가늠할 수 없었지만 시간이 흐르고 정제된 비판 의견들을 보면서 저도 느끼는 바가 있었고 앞으로 컨텐츠를 만들 때 좀 더 고민을 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희 패러디 영상이 불편하신 분들께 받고 싶은 취급은 차단받을 만한 비호감 영상이지, 내려야 할 비하 영상이 아닙니다. 저희가 계속해서 비호감 영상을 만들게 된다면 차단과 외면을 받다가 문을 내릴 것이고 진짜 비하 영상을 만들게 된다면 바로 모든 이들에게 손가락질 받으며 사라질 겁니다. 제 생각이 잘 전달되었길 바랍니다.


하여튼 여초가 여초했..참고로 이런 논란이 있는 와중 최근 구독자6만명을 돌파하였으며, 지금은 7만명을 바라보고있다.

마치며

언제부터 장애인에 그렇게 관심이 많아서 실상 장애인을 위해 무엇을 하고 다녔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패러디가 불편하면 안보면 되는걸 저렇게 까지 악플을 달고 피를 봐야하지 싶을 정도다.

왜 ‘패러디=비하/비난’ 이라는 공식이 생겼는지 참 웃긴다. 영화 말아톤에서 “초원이다리는 백만불 짜리 다리~” , 7번가의 선물 에서는 “예승이~”하면서 패러디할때는 조용하더니 왜이러는 것인가? 그럼 드라마는 괜찮고 패러디는 안된다면, 영화는 괜찮은 것인가? 영화에서 장애인이 시민에게 피해 입히는 장면이 나오면 그건 비하인가? 

대체 그렇게 장애인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평소에 장애인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모르겠다. 그냥 드라마가 재밌으니까 쉴드치려는것으로 밖에 안보일뿐,(드라마가 잘못됬다는 것은 아님)

그냥 솔직하게 말하자. 저 유튜버가 잘 나가고, 본인보다 이쁜 아내니까 부러워서 악플 다는 것이라고. 장애인 비하는 그냥 핑계라고, 그게 덜 추하니 말이다. 악플단 여러분 덕분에 이런 재미있는 채널 알게 되서 감사합니다, 전 구독했습니다.

Leave a Comment